오늘 밤부터 새벽에 수도권과 충청 지역을 시작으로 전북까지 폭우가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보통 비 예보에서 시간당 몇 밀리미터의 비가 내린다고 할 때 체감상 어느 정도인지 쉽게 감이 오지 않는데요. <br /> <br />시간당 강수량, 어느 정도부터 위험신호인지 홍상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비의 강도는 1시간에 내린 비의 양인 강수량, 또는 강우량으로 표현합니다. <br /> <br />신경을 써야 할 정도는 시간당 강수량 15mm부터입니다. <br /> <br />시간당 강수량이 15mm일 때는,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으면 시야가 확보되지 않고 굴곡진 도로에는 물웅덩이가 생기게 됩니다. <br /> <br />시간당 30mm의 비가 내리면, 우산을 써도 이동하기가 어렵고, 운전할 때 시야 확보도 힘든 수준이 됩니다. <br /> <br />지하차도처럼 지대가 낮은 곳에서는 물이 차오르기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시간당 50mm 이상의 비가 내린다는 예보나 방송이 나오면 거리에 물이 차오르고, 자동차의 정상 운행이 불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시간당 70mm의 비가 내리면, 하천 가까이 있는 차량이 물에 잠기기 시작해 피해가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국지성 호우와 지형적 요인이 겹치면 피해는 더 커집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2년 8월 한밤 폭우로 강남대로와 서초대로 일대의 침수 사태 당시엔, 시간당 100mm의 비가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 정도 강수량이면 도로에선 차량이 물에 뜨고, 지하는 물론 건물 하단까지 물에 잠기기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[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: 시간당 강수량이 많아질수록 피해가 커지는 것은 당연하지만, 실제 상황에서는 지형적인 요인 등으로 인해 강우 강도에 비해 호우 피해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비교적 적은 강수량이지만 짧은 시간 비가 집중될 경우 여전히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올해 장마가 국지성 집중호우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다, 대기 불안정과 저기압으로 올여름 평년보다 많은 강수량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상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지연 <br />디자인 : 김진호 <br />화면제공 : 기상청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상희 (sa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70417373597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